좋은만남교회

조회 수 5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우리나라 국민, 평균 희망 은퇴 연령은 65세


2021년 5월, 한국리서치의 여론조사 '조기은퇴와 직장인의 부수입 창출 활동에 관한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의 은퇴 희망 연령은 평균 65세로 나타났습니다. 연령별로 조사 결과를 보면 연령이 높을수록 희망 은퇴 연령도 같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1.jpg

장기적 저성장 경제 침체에 유럽 등에서는 ‘파이어족’(경제적 자립을 통해 빠른 시기에 은퇴하려는 사람들을 뜻하는 신조어)이 등장했는데, 우리나라 국민의 경우 희망 은퇴 연령으로 ‘40대 이전’을 선택한 20대 응답자는  11%, 30대는 14%였고, 40대 이상은 1% 이하로 나타나 우리나라 국민의 조기 은퇴 인식은 보편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은퇴에 필요한 경제적 자산이 갖춰졌을 시 조기 은퇴할 의사가 있는지 묻는 질문에는 ,‘전체 평균’ 45%로 2명 중 1명 가까이가 ‘40대’ 또는 그 이전에 은퇴하고 싶다고 응답했고, 특히 ‘30대’는 67%로 가장 높았습니다.

2.jpg

40대 또는 그 이전에 조기 은퇴하고 싶은 이유로는 ‘스트레스 받지 않으려고’ 74%, ‘더 편안한 삶을 살 수 있어서’ 72% 등이 높았는데, 행복한 삶을 추구하고자 하는 욕구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반면 또한 조기 은퇴하고 싶지 않은 이유로는 ‘회사에 다니면 규칙적인 생활을 할 수 있기 때문에’ 71%, ‘직무 외에도 전반적인 회사 생활에 만족하기 때문에’ 52%, ‘회사에서 주는 일정한 수입에 만족해서’ 42% 등 순으로 응답해 생활의 안정감 측면의 인식을 엿볼 수 있습니다. 

3.jpg

* 이 글은 [목회데이터연구소]의 '넘버즈'를 요약·인용하였습니다.
?

  1. 팬데믹 이후 전세계 실업자 1억 1,400만 명 발생

    팬데믹 이후 전세계 실업자 1억 1,400만 명 발생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지난 7월 7일 발표한 ‘2021년 고용 전망 보고서’(Employment Outlook 2021)에 따르면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전 세계 1억 1,400만 명의 실업자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OECD ...
    Date2021.07.24 By좋은만남 Views2
    Read More
  2. 2030의 세대 인식, '공정세대'보다는 '상실세대'에 가까워

    2030의 세대 인식, '공정세대'보다는 '상실세대'에 가까워 KBS '시사기획 창, 세대인식 집중조사, 세대가 아니라 세상이 문제다'가 2021년 5월 10일부터 3일 동안 우리 사회의 세대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전국 1,200명의 청년층(20~34세)과 50대 장년층을 대상...
    Date2021.07.17 By좋은만남 Views9
    Read More
  3. OECD 두 번째로 많이 일하는 한국, 임금 감소율은 커져

    OECD 두 번째로 많이 일하는 한국, 임금 감소율은 커져 한국의 300인 이상 사업장의 연평균 노동시간(2019년)은 1,967시간으로, OECD 국가 중 멕시코(2,137시간)에 이어 노동시간이 두 번째로 긴 나라입니다. 2년전인 2017년에 비해 51시간 감소한 것은 그나마...
    Date2021.07.10 By좋은만남 Views10
    Read More
  4. 우리나라 국민, 평균 희망 은퇴 연령은 65세

    우리나라 국민, 평균 희망 은퇴 연령은 65세 2021년 5월, 한국리서치의 여론조사 '조기은퇴와 직장인의 부수입 창출 활동에 관한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의 은퇴 희망 연령은 평균 65세로 나타났습니다. 연령별로 조사 결과를 보면 연령이 높을수록 희망...
    Date2021.07.03 By좋은만남 Views55
    Read More
  5. 기분장애 환자 백만 명 시대, 2030세대 증가 폭 가장 커

    기분장애 환자 백만 명 시대, 2030세대 증가 폭 가장 커 2020년 한 해 기분장애 질환(우울, 조울증 등)으로 병원에 내원한 환자는 2019년 대비 5.6% 증가한 101만 7천 명으로 집계돼, 처음으로 백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이는 2016년(77만 8천 명)보다 31% 증가...
    Date2021.06.26 By좋은만남 Views11
    Read More
  6. 코로나19 이후 체중 늘고 영상 시청 시간은 늘었다.

    코로나19 이후 체중 늘고 영상 시청 시간은 늘었다. 대한비만학회에서 최근 국민들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이후 국민 체중 관리에 대해 조사한 결과, 국민 절반 가까이(46%)가 코로나19 이전 대비 ‘몸무게가 3kg 이상 늘었다’고 응답했습니다. 연령별로는 ‘30대’...
    Date2021.06.19 By좋은만남 Views7
    Read More
  7. 일상생활에서 욕설과 혐오표현 예전보다 더 많이 사용

    일상생활에서 욕설과 혐오표현 예전보다 더 많이 사용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국민들이 일상생활에서 욕설과 비속어를 얼마나 자주 사용하는지 질문하였는데, ‘욕설(제기랄, 씹새끼, 쌍년 등) 사용’ 47%, ‘비속어(뒈지다, 대갈통, 쪽팔리다 등) 사용’ 48%로 각...
    Date2021.06.12 By좋은만남 Views34
    Read More
  8. 월급은 쥐꼬리만큼 오르는데, 아파트 가격은 고공행진

    월급은 쥐꼬리만큼 오르는데, 아파트 가격은 고공행진 최근 발표된 한국경제연구원의 ‘성실근로자 울리는 5대 요인’ 보도 자료에 따르면, 2020년 서울 아파트 매매 중위 가격은 9억 2,365만 원, 2020년 1인당 근로자 월급 총액은 353만 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Date2021.06.05 By좋은만남 Views16
    Read More
  9. 보건/의료직 연봉 가장 높고, 50대부터 감소하는 추세

    보건/의료직 연봉 가장 높고, 50대부터 감소하는 추세 한국에서 연봉이 가장 높은 직업군은 무엇일까요? 2019년 하반기에 전체 직업을 10개 대분류로 구분하여 직업군별 연 소득을 측정한 결과 보건/의료직이 6,727만 원으로 가장 높고 경영/사무금융/보험직이...
    Date2021.05.29 By좋은만남 Views24
    Read More
  10. 한국인의 직업 인식, 변화에 대비해야 할 것

    한국인의 직업 인식, 변화에 대비해야 할 것 한국고용정보원에서 570개 직업에 종사하고 있는 재직자 17,100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기여, 자녀의 직업 선택 권유, 사회적 평판, 자녀의 직업 선택 시 지지, 고용안정, 발전가능성, 근무조건, 전반적 직무만족, 급...
    Date2021.05.22 By좋은만남 Views1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