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만남교회

조회 수 3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대한민국 자살자, 하루 36명, OECD 여전히 1위!


1.jpg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0 사망원인 통계’ 자료에 따르면, 2020년 우리나라 자살자 수는 13,195명으로 하루평균 36.1명이고, 시간당 1.5명꼴이며 남자(69%)가 여자보다 2배 이상 많습니다. 2019년 대비로 604명(-4.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코로나로 인한 자살자가 증가했을 것 같지만 국가적 재난 시기에는 사회적 긴장과 국민적 단합 등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대개 재난 발생 2년 후부터 자살률이 증가합니다. 그러므로 지금부터 국가적이고 적극적인 대응을 통해 자살률 증가를 막아야 한다고 전문가들이 강조하고 있습니다.
OECD 국가 간 연령표준화 자살률(인구 10만 명당 자살자 수)을 비교해보면, OECD 평균(11명)에 비해 우리나라(24명)는 가입국 중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자살률은 나이가 많을수록 높은데, 여자의 경우 나이별 자살률의 변동 폭이 크지 않았지만, 남자는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자살률도 높아 40대부터는 여자의 두 배를 훌쩍 뛰어넘었으며 특히 70대 이상 남자의 자살률 증가 폭이 매우 높습니다.

2.jpg

가장 큰 자살 동기는 ‘정신적, 정신과적 문제’이며, 그다음이 ‘경제생활 문제’였는데 ‘경제생활 문제’로 자살하는 경우 매년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자살 동기는 나이별로 조금씩 차이를 보였습니다. 10~30세까지는 ‘정신적, 정신과적 문제’가 컸고, 30~60세는 ‘경제생활 문제’, 60세 이상은 ‘육체적 질병 문제’를 동기로 자살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3.jpg

4.jpg 보건복지부에서 코로나19 이후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국민 정신건강 실태’를 추적 조사하고 있는데, 올해 2분기 조사 결과에 따르면, 최근 2주간 자살 생각을 한 적 있다는 비율이 우리 국민의 12%였는데, 이는 코로나19 이전 2019년의 5%보다 2.4배가 높은 수치입니다. 나이별 자살 생각은 ‘20대’가 18%로 가장 높았고, ‘30대’ 15%, ‘40대’ 13%, ‘50대’ 9%, ‘60대’ 8% 순으로, 연령이 낮아질수록 자살 생각 비율이 높았습니다. 

* 이 글은 [목회데이터연구소]의 '넘버즈'를 요약·인용하였습니다.
?

  1. 한국 대학생 및 졸업 자 3명 중 2명, ‘사실상 구직 단념’

  2. 2030세대, ‘인생 목표는 물질적으로 풍족해지는 것’

  3. 우리 국민 다수가 북한에 관심 없고 대북지원에도 반대

  4. 우리 국민, 평화공존, 연합제 통일을 더 원해

  5. 데이트 폭력사건, 5년 전보다 2배 가까이 증가

  6. 2020년 복권 판매액, 소비 지출 감소에도 증가!

  7. 우리 국민,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4명 중 1명 꼴

  8. 10-20대 자살률 증가, 자살시도자 '도움 얻으려고'

  9. 대한민국 자살자, 하루 36명, OECD 여전히 1위!

  10. 한국의 자영업자, 비율은 높고 영업이익율은 1/3 수준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