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만남교회

조회 수 1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오피니언 리더, 향후 추진해야 할 가치는 '공정'


최근 문화일보에서 2022년 새해를 맞아 각계 오피니언 리더 108명을 대상으로 우리 사회 전반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74%가 ‘우리나라가 올바르지 않은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응답하여, 국가운영 방향에 대해 불안감을 보이고 있는 것을 나타났습니다.
우리 사회가 추구해야 할 가장 큰 가치로는 절반에 가까운 45%가 ’공정‘을 꼽았고, 그 뒤를 이어 성장(19%), 자유(11%), 정의(9%), 효율(7%), 분배, 평등(5%)의 순이었습니다. 이런 가치 기준이 곧 있을 대선 후보를 결정하는데 있어 어느정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판단됩니다. 
새 정부가 추구해야 할 대한민국의 핵심 국가 목표에 대해서는 ‘글로벌 선도국가’가 57%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과학기술 중심국가’ 21%, ‘보편적 복지국가’ 16% 등의 순이었습니다. 
한편 새정부가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는 ‘경제활성화’ 36%, ‘정치/정부개혁’ 24% ‘불평등/양극화 해소’ 21% 등의 순으로 지적됐는데, 일반국민의 경우 경제문제, 일자리 문제가 항상 상위권에 위치하는데 반해, 여론선도층은 경제활성화 문제 이외에 정치 개혁과 양극화 해소 문제를 상위권으로 꼽았습니다. 

1.png
* 이 글은 [목회데이터연구소]의 '넘버즈'를 요약·인용하였습니다.
?

  1. 코로나 2년, 10명 중 4명 폐업, 전망도 3명 중 2명은 비관적!

    코로나 2년, 10명 중 4명 폐업, 전망도 3명 중 2명은 비관적!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최근 실시한 자영업자 대상 「2021년 실적 및 2022년 전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자영업자의 41%가 현재 폐업을 고려 중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폐업을 고려하는 이유로는 ‘...
    Date2022.02.19 By좋은만남 Views18
    Read More
  2. 2022년 한국인의 새해 목표, 건강이 최고!

    2022년 한국인의 새해 목표, 건강이 최고! 매년 새해를 맞이하며 사람들마다 작은 목표(소망) 하나쯤은 품게 마련입니다. 최근 한국리서치에서 "새해맞이와 2022년 계획"을 주제로 조사한 결과, 2022년 한 해 목표로 우리국민 10명 중 7명 꼴인 70%가 ‘건강 유...
    Date2022.02.12 By좋은만남 Views22
    Read More
  3. 2070년, 인구 절반이 62세 이상, 기대수명은 91세로 늘어

    2070년, 인구 절반이 62세 이상, 기대수명은 91세로 늘어 인구 구성비를 살펴보면, 베이비붐 세대가 생산연령인구(15~64세 인구)에서 고령인구(65세 이상인구)로 이동하는 2020년부터 생산연령인구는 현재 72%(3,738만 명)에서 2070년 46%(1,737만 명)로 크게 ...
    Date2022.02.05 By좋은만남 Views32
    Read More
  4. 한국 총인구, 예상보다 8년 앞당겨 작년부터 감소 시작

    한국 총인구, 예상보다 8년 앞당겨 작년부터 감소 시작 작년 말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총인구는 이미 2020년에 5,184만 명으로 정점을 찍고 2021년부터 감소세로 돌아선 것으로 발표됐습니다. 2070년에는 3,766만 명으로 줄어들 것으...
    Date2022.01.29 By좋은만남 Views35
    Read More
  5. 오피니언 리더, 향후 추진해야 할 가치는 '공정'

    오피니언 리더, 향후 추진해야 할 가치는 '공정' 최근 문화일보에서 2022년 새해를 맞아 각계 오피니언 리더 108명을 대상으로 우리 사회 전반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74%가 ‘우리나라가 올바르지 않은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응답하여, ...
    Date2022.01.22 By좋은만남 Views11
    Read More
  6. 코로나19 이후 우리 국민의 디지털 소비, 2배 늘었다!

    코로나19 이후 우리 국민의 디지털 소비, 2배 늘었다! 한국소비자원에서 우리 국민의 소비생활을 2년 주기로 추적 조사해 왔는데, 최근 발표된 2021년 11월의 조사 결과를 보면, 우리국민의 소비유형이 ‘디지털 소비’ 82%, ‘비 디지털 소비’ 18%로 디지털 소비...
    Date2022.01.15 By좋은만남 Views11
    Read More
  7. 2015~2020년 초혼 신혼부부 100쌍 중 45쌍, ‘자녀 없다’!

    2015~2020년 초혼 신혼부부 100쌍 중 45쌍, ‘자녀 없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15~2020년 초혼 신혼부부의 자녀 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신혼부부의 45%가 자녀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2015년의 36%와 비교해 5년 새 9%p나 증가한 수치입니다. 201...
    Date2022.01.08 By좋은만남 Views12
    Read More
  8. 0.9%의 대기업이 전체 기업 이익의 75%를 가져간다!

    0.9%의 대기업이 전체 기업 이익의 75%를 가져간다! 현재 우리나라 기업 중 대기업(중견기업포함)이 차지하는 비율은 0.9%인데, 이 대기업이 전체 기업 매출액의 63%를 차지하고 있고, 영업이익은 75%를 갖고 가고 있습니다. 역으로 99%의 기업(중소기업)이 전...
    Date2022.01.01 By좋은만남 Views10
    Read More
  9. 치매 환자/가족의 염려 사항, ‘경제적 부담’ 가장 높아!

    치매 환자/가족의 염려 사항, ‘경제적 부담’ 가장 높아! 가족이나 본인에게 치매 진단이 내릴 경우, 염려되는 점으로 ‘경제적 부담’이 57%로 가장 높았습니다. 다음으로 ‘간병으로 인한 정신적 스트레스, ‘가족을 못 알아볼 수도 있다는 두려움’ 등이 뒤를 이...
    Date2021.12.25 By좋은만남 Views16
    Read More
  10.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1명꼴 치매 환자!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1명꼴 치매 환자! 보건복지부와 중앙치매센터의 ‘대한민국 치매 현황 2020’ 자료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인구 약 772만 명 중 치매 상병자(의료 기관에서 치매 진단 및 치매 진료를 받은 환자)는 86...
    Date2021.12.18 By좋은만남 Views2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