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만남교회

조회 수 1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21년 초·중·고 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


1 (1).jpg 통일부와 교육부가 2월 17일에 발표한 「2021년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통일의 필요성에 대해 우리나라 초·중·고 학생들은 ‘통일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61%로 5명 중 3명은 통일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습니다. 한편 ‘통일이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2019년 19%, 2020년 24%, 2021년 25%로 조금씩 증가 추세를 보였습니다.
‘통일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학생들은 ‘전쟁위협 해소’, ‘같은 민족이므로’, ‘이산가족 아픔 해결’ 순으로 답했고, ‘통일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로는 학생 10명 중 3명(30%)이 ‘통일에 따르는 경제적 부담 때문에’라고 응답했습니다. 
안전에 대한 인간의 욕구와 함께 실리적이고 갓생(현실 생활에 집중해 성실하게 사는 삶)을 중시하는 현 세대의 모습을 반영한 결과로 보입니다.

2 (2).jpg

학생들에게 북한이탈주민 학생과 여러 관계가 됐을 때 관계유형별로 불편함이 있는지 물어보았습니다. 먼저 ‘우리 반 내짝’이 될 경우 ‘불편하지 않다’는 응답이 무려 70%나 되었다. ‘불편하지 않다’는 응답은 ‘우리 반 친구’ 77%, ‘우리 학교 친구’ 80%, ‘우리 동네 이웃’ 79%로 나타나, 대체로 북한이탈주민 학생들에게 거부감을 느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북한이탈주민 학생들에 대해 ‘불편하지 않다’는 인식은 전년 대비 약간씩 증가했습니다.

이번에는 학생들에게 북한에 대한 이미지를 물어보았습니다. 학생 53%는 북한이 ‘협력 대상’이라 답했는데, 이는 작년 대비 2%p 감소한 수치입니다. 반면 ‘경계 대상’이라 답한 비율은 27%로 2020년 대비 소폭(3%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 (2).jpg  4 (2).jpg
* 이 글은 [목회데이터연구소]의 '넘버즈'를 요약·인용하였습니다.
?

  1. 10억 원 이상 부자의 금융자산 , 일반 가구의 2배

    10억 원 이상 부자의 금융자산 , 일반 가구의 2배 우리나라 은행권 금융연구소에서 매년 조사하는 금융자산 ‘10억 원 이상 부자’의 특징을 살펴보면 2020년 기준 39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0.8%를 차지하고 있는데, 전년 대비 11% 증가하였고, 2016년 대비 무려...
    Date2022.04.30 By좋은만남 Views28
    Read More
  2. 한국의 상위 1% 부자는 순자산 29억 원 이상

    한국의 상위 1% 부자는 순자산 29억 원 이상 2021년말 통계청에서 발표한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가구 기준 우리나라 상위 1% 부자의 순자산(자산에서 부채를 뺀 금액을 말하며, 순재산으로도 불리운다) 커트라인은 29억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2020년...
    Date2022.04.23 By좋은만남 Views156
    Read More
  3. ‘돈만 있으면 명품 사겠다!’ MZ세대 65%가 응답

    ‘돈만 있으면 명품 사겠다!’ MZ세대 65%가 응답 지난해(2021년) 글로벌 명품 시장의 규모는 약 3,500억 달러로, 세계적 팬데믹 시기에도 불구하고 13%의 성장률을 보였습니다. 한국은 세계 7위 수준의 규모입니다. 20세에서 49세까지 국민의 절반 가까이는 최...
    Date2022.04.16 By좋은만남 Views10
    Read More
  4. 2021년 초·중·고 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

    2021년 초·중·고 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 통일부와 교육부가 2월 17일에 발표한 「2021년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통일의 필요성에 대해 우리나라 초·중·고 학생들은 ‘통일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61%로 5명 중 3명은 통일 필요성을 인...
    Date2022.04.09 By좋은만남 Views11
    Read More
  5. 2022년 한국 행복지수, OECD 38개국 중 최하위권!

    2022년 한국 행복지수, OECD 38개국 중 최하위권! 유엔 산하 자문기구인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SDSN)이 최근 공개한 ‘2022 세계 행복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행복지수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 중 36위로 최하위권으로 나타났습니다. 전 세...
    Date2022.04.02 By좋은만남 Views22
    Read More
  6. 코로나 이후 양극화 현상 더욱 심각해졌다.

    코로나 이후 양극화 현상 더욱 심각해졌다. ◎ 2021년 우리나라 가구 순자산(자산-부채) 상위 10% 17억 9,369만 원, 하위 10% -818만 원 국민의힘 추경호 의원실이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의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1년 우리나라 가구 상...
    Date2022.03.26 By좋은만남 Views17
    Read More
  7. 학생, 학부모, 교사가 듣고 싶은 말 TOP 10

    학생, 학부모, 교사가 듣고 싶은 말 TOP 10 최근 서울시교육청에서 학교 폭력 예방 교육의 일원으로 관내 초·중·고 학생 및 교사, 학부모를 대상으로 공모를 실시하여, ‘소통의 장’(학생이 듣고 싶은 말, 선생님이 듣고 싶은 말, 학부모가 듣고 싶은 말로 구분...
    Date2022.03.19 By좋은만남 Views22
    Read More
  8. 2020년 임금근로자의 소득 결과, 월 평균 320만원

    2020년 임금근로자의 소득 결과, 월 평균 320만원 ◎ 2020년 임금근로자 월 평균소득, 320만 원! 지난 2월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임금근로일자리 소득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임금근로자의 월 평균 소득은 320만 원으로 전년 대비 11만 원(3.6%) 증가...
    Date2022.03.12 By좋은만남 Views66
    Read More
  9. 청년 네 명 중 세 명, 취업 관련 공정한 기회 없다고 생각

    청년 네 명 중 세 명, 취업 관련 공정한 기회 없다고 생각 직장인들은 청년 취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까요? 이와 관련하여 최근 '기성세대가 청년에게 공정한 기회를 주고 있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이 질문에 대해 ‘그렇지 않다...
    Date2022.03.05 By좋은만남 Views14
    Read More
  10. 국민 41%, ‘점’을 본 적 있고, 사주팔자 가장 많이 봐!

    국민 41%, ‘점’을 본 적 있고, 사주팔자 가장 많이 봐! 최근 5년 사이에 전체 국민 가운데 점을 본 적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41%였는데 남자보다 여자가 점을 더 많이 본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점은 나이든 사람이 좋아할 거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조사 ...
    Date2022.02.26 By좋은만남 Views1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8 Next
/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