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만남교회

조회 수 1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돈만 있으면 명품 사겠다!’ MZ세대 65%가 응답

 
지난해(2021년) 글로벌 명품 시장의 규모는 약 3,500억 달러로, 세계적 팬데믹 시기에도 불구하고 13%의 성장률을 보였습니다. 한국은 세계 7위 수준의 규모입니다. 20세에서 49세까지 국민의 절반 가까이는 최근 1년 이내 명품 구매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구매 주기가 길고 한 번 구매하면 오래 사용하는 명품의 특성을 고려해봤을 때 1년 내 45%가 구매했다는 것은 높은 구매율이라 볼 수 있습니다. 

1 (1).jpg

15~34세 청년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명품에 대한 개방적 인식은 명품을 사지 않은 이유에서도 보입니다. 명품을 사지 않은 이유로 가치관이나 실용성보다 ‘금전적 이유’(65%)가 가장 크게 나타났습니다. ‘돈만 있으면 사겠다’는 생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 (1).jpg

명품에 대한 MZ세대의 생각은 어떨까요? 절반 정도(49%)가 ‘모두가 알아보는 명품’을 구매하고 싶어했지만, 남에게 보이기 보다는 ‘내 만족을 위해 사는 것’(77%)이라는 인식이 더 컸습니다. ‘명품은 과소비’라고 인식하는 비율은 34%에 그쳐, 합당한 소비라고 생각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3 (1).jpg
이러한 인식은 소비 특성과도 연관되는데, 14~25세의 Z세대는 ‘마음이 가는 것에 돈 쓰는 것을 주저하지 않는’(57%) 성향을 보이고, 이러한 성향은 해마다 점점 짙어지고 있습니다. 당분간 MZ세대의 명품 소비가 줄어들지는 않을 것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59세 이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명품 의류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습니다. 이들은 명품에 대해 ‘명품보다 품질이 우수한 제품이 많고’(81%), ‘나를 드러내 주진 않지만’(드러내준다:38%), ‘내 경제력을 보여줄 수 있고’(53%) ‘오래 입을 수 있기에’(54%), ‘하나쯤은 있을 법 한’(72%)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습니다. ‘사치’라는 인식은 MZ세대와 마찬가지로 1/3 정도에 그쳤습니다.
 명품 소비는 남과 다르게 보이고 달라 보이는 저 사람과 같이 되려는 욕구를 마케팅의 동력으로 삼습니다. 여기에는 계층 상승의 욕구와, 자신의 정체성을 소비에서 찾고자 하는 물질 숭배 사상이 숨어있습니다. 

4 (1).jpg

* 이 글은 [목회데이터연구소]의 '넘버즈'를 요약·인용하였습니다.
?

  1. 10억 원 이상 부자의 금융자산 , 일반 가구의 2배

    10억 원 이상 부자의 금융자산 , 일반 가구의 2배 우리나라 은행권 금융연구소에서 매년 조사하는 금융자산 ‘10억 원 이상 부자’의 특징을 살펴보면 2020년 기준 39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0.8%를 차지하고 있는데, 전년 대비 11% 증가하였고, 2016년 대비 무려...
    Date2022.04.30 By좋은만남 Views28
    Read More
  2. 한국의 상위 1% 부자는 순자산 29억 원 이상

    한국의 상위 1% 부자는 순자산 29억 원 이상 2021년말 통계청에서 발표한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가구 기준 우리나라 상위 1% 부자의 순자산(자산에서 부채를 뺀 금액을 말하며, 순재산으로도 불리운다) 커트라인은 29억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2020년...
    Date2022.04.23 By좋은만남 Views156
    Read More
  3. ‘돈만 있으면 명품 사겠다!’ MZ세대 65%가 응답

    ‘돈만 있으면 명품 사겠다!’ MZ세대 65%가 응답 지난해(2021년) 글로벌 명품 시장의 규모는 약 3,500억 달러로, 세계적 팬데믹 시기에도 불구하고 13%의 성장률을 보였습니다. 한국은 세계 7위 수준의 규모입니다. 20세에서 49세까지 국민의 절반 가까이는 최...
    Date2022.04.16 By좋은만남 Views10
    Read More
  4. 2021년 초·중·고 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

    2021년 초·중·고 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 통일부와 교육부가 2월 17일에 발표한 「2021년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통일의 필요성에 대해 우리나라 초·중·고 학생들은 ‘통일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61%로 5명 중 3명은 통일 필요성을 인...
    Date2022.04.09 By좋은만남 Views11
    Read More
  5. 2022년 한국 행복지수, OECD 38개국 중 최하위권!

    2022년 한국 행복지수, OECD 38개국 중 최하위권! 유엔 산하 자문기구인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SDSN)이 최근 공개한 ‘2022 세계 행복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행복지수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 중 36위로 최하위권으로 나타났습니다. 전 세...
    Date2022.04.02 By좋은만남 Views22
    Read More
  6. 코로나 이후 양극화 현상 더욱 심각해졌다.

    코로나 이후 양극화 현상 더욱 심각해졌다. ◎ 2021년 우리나라 가구 순자산(자산-부채) 상위 10% 17억 9,369만 원, 하위 10% -818만 원 국민의힘 추경호 의원실이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의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1년 우리나라 가구 상...
    Date2022.03.26 By좋은만남 Views17
    Read More
  7. 학생, 학부모, 교사가 듣고 싶은 말 TOP 10

    학생, 학부모, 교사가 듣고 싶은 말 TOP 10 최근 서울시교육청에서 학교 폭력 예방 교육의 일원으로 관내 초·중·고 학생 및 교사, 학부모를 대상으로 공모를 실시하여, ‘소통의 장’(학생이 듣고 싶은 말, 선생님이 듣고 싶은 말, 학부모가 듣고 싶은 말로 구분...
    Date2022.03.19 By좋은만남 Views22
    Read More
  8. 2020년 임금근로자의 소득 결과, 월 평균 320만원

    2020년 임금근로자의 소득 결과, 월 평균 320만원 ◎ 2020년 임금근로자 월 평균소득, 320만 원! 지난 2월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임금근로일자리 소득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임금근로자의 월 평균 소득은 320만 원으로 전년 대비 11만 원(3.6%) 증가...
    Date2022.03.12 By좋은만남 Views66
    Read More
  9. 청년 네 명 중 세 명, 취업 관련 공정한 기회 없다고 생각

    청년 네 명 중 세 명, 취업 관련 공정한 기회 없다고 생각 직장인들은 청년 취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까요? 이와 관련하여 최근 '기성세대가 청년에게 공정한 기회를 주고 있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이 질문에 대해 ‘그렇지 않다...
    Date2022.03.05 By좋은만남 Views14
    Read More
  10. 국민 41%, ‘점’을 본 적 있고, 사주팔자 가장 많이 봐!

    국민 41%, ‘점’을 본 적 있고, 사주팔자 가장 많이 봐! 최근 5년 사이에 전체 국민 가운데 점을 본 적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41%였는데 남자보다 여자가 점을 더 많이 본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점은 나이든 사람이 좋아할 거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조사 ...
    Date2022.02.26 By좋은만남 Views1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8 Next
/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