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만남교회

조회 수 15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국의 상위 1% 부자는 순자산 29억 원 이상
 

2021년말 통계청에서 발표한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가구 기준 우리나라 상위 1% 부자의 순자산(자산에서 부채를 뺀 금액을 말하며, 순재산으로도 불리운다) 커트라인은 29억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2020년 대비 12% 증가한 금액입니다. 
상위 1% 부자(가구주)의 연령대를 보면 60대가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50대, 70대, 80대 순으로 50대 이상이 전체의 90% 가까이(88%) 차지하고 있습니다.

1.jpg

상위 1% 부자의 노후준비 상황을 살펴보면 예상 은퇴연령은 71세로 일반 가구 평균 68세보다 3년 더 늦은 시점으로 예상하였습니다. 상위 1% 부자(가구)의 현재 월평균 소비 금액은 479만 원이며, 지출 구성을 살펴보면 식비 29%, 기타비용 28%, 교육비 14%, 주거비 12%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적정 노후 생활비는 월 522만 원이라 답변하였는데, 일반가구 평균 대비 1.7배 차이를 보였다. 재산상의 큰 차이가 나는 것 만큼 실제 생활비는 크게 차이가 나지는 않았습니다.

2.jpg

‘부자가 생각하는 부자의 자산 기준’을 살펴보면 총자산이 ‘최소 100억 원 이상’은 있어야 한다고 응답했고, 자산 종류별로 보면 부동산자산은 ‘최소 50억 원’, 금융자산 ‘최소 30억 원’을 부자의 기준으로 보았습니다.
‘부자가 생각하는 부자의 기준’(100억 원)은 ‘일반 국민들이 생각하는 부자의 기준’(39억 원)보다 2.6배 가량 차이를 보였습니다. 

3.jpg

* 이 글은 [목회데이터연구소]의 '넘버즈'를 요약·인용하였습니다.
?

  1. 10억 원 이상 부자의 금융자산 , 일반 가구의 2배

    10억 원 이상 부자의 금융자산 , 일반 가구의 2배 우리나라 은행권 금융연구소에서 매년 조사하는 금융자산 ‘10억 원 이상 부자’의 특징을 살펴보면 2020년 기준 39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0.8%를 차지하고 있는데, 전년 대비 11% 증가하였고, 2016년 대비 무려...
    Date2022.04.30 By좋은만남 Views28
    Read More
  2. 한국의 상위 1% 부자는 순자산 29억 원 이상

    한국의 상위 1% 부자는 순자산 29억 원 이상 2021년말 통계청에서 발표한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가구 기준 우리나라 상위 1% 부자의 순자산(자산에서 부채를 뺀 금액을 말하며, 순재산으로도 불리운다) 커트라인은 29억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2020년...
    Date2022.04.23 By좋은만남 Views156
    Read More
  3. ‘돈만 있으면 명품 사겠다!’ MZ세대 65%가 응답

    ‘돈만 있으면 명품 사겠다!’ MZ세대 65%가 응답 지난해(2021년) 글로벌 명품 시장의 규모는 약 3,500억 달러로, 세계적 팬데믹 시기에도 불구하고 13%의 성장률을 보였습니다. 한국은 세계 7위 수준의 규모입니다. 20세에서 49세까지 국민의 절반 가까이는 최...
    Date2022.04.16 By좋은만남 Views10
    Read More
  4. 2021년 초·중·고 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

    2021년 초·중·고 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 통일부와 교육부가 2월 17일에 발표한 「2021년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통일의 필요성에 대해 우리나라 초·중·고 학생들은 ‘통일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61%로 5명 중 3명은 통일 필요성을 인...
    Date2022.04.09 By좋은만남 Views11
    Read More
  5. 2022년 한국 행복지수, OECD 38개국 중 최하위권!

    2022년 한국 행복지수, OECD 38개국 중 최하위권! 유엔 산하 자문기구인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SDSN)이 최근 공개한 ‘2022 세계 행복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행복지수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 중 36위로 최하위권으로 나타났습니다. 전 세...
    Date2022.04.02 By좋은만남 Views22
    Read More
  6. 코로나 이후 양극화 현상 더욱 심각해졌다.

    코로나 이후 양극화 현상 더욱 심각해졌다. ◎ 2021년 우리나라 가구 순자산(자산-부채) 상위 10% 17억 9,369만 원, 하위 10% -818만 원 국민의힘 추경호 의원실이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의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1년 우리나라 가구 상...
    Date2022.03.26 By좋은만남 Views17
    Read More
  7. 학생, 학부모, 교사가 듣고 싶은 말 TOP 10

    학생, 학부모, 교사가 듣고 싶은 말 TOP 10 최근 서울시교육청에서 학교 폭력 예방 교육의 일원으로 관내 초·중·고 학생 및 교사, 학부모를 대상으로 공모를 실시하여, ‘소통의 장’(학생이 듣고 싶은 말, 선생님이 듣고 싶은 말, 학부모가 듣고 싶은 말로 구분...
    Date2022.03.19 By좋은만남 Views22
    Read More
  8. 2020년 임금근로자의 소득 결과, 월 평균 320만원

    2020년 임금근로자의 소득 결과, 월 평균 320만원 ◎ 2020년 임금근로자 월 평균소득, 320만 원! 지난 2월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임금근로일자리 소득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임금근로자의 월 평균 소득은 320만 원으로 전년 대비 11만 원(3.6%) 증가...
    Date2022.03.12 By좋은만남 Views66
    Read More
  9. 청년 네 명 중 세 명, 취업 관련 공정한 기회 없다고 생각

    청년 네 명 중 세 명, 취업 관련 공정한 기회 없다고 생각 직장인들은 청년 취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까요? 이와 관련하여 최근 '기성세대가 청년에게 공정한 기회를 주고 있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이 질문에 대해 ‘그렇지 않다...
    Date2022.03.05 By좋은만남 Views14
    Read More
  10. 국민 41%, ‘점’을 본 적 있고, 사주팔자 가장 많이 봐!

    국민 41%, ‘점’을 본 적 있고, 사주팔자 가장 많이 봐! 최근 5년 사이에 전체 국민 가운데 점을 본 적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41%였는데 남자보다 여자가 점을 더 많이 본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점은 나이든 사람이 좋아할 거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조사 ...
    Date2022.02.26 By좋은만남 Views1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8 Next
/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