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만남교회

조회 수 2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장애인 가족 24%, "자살을 생각한 적 있다"


지난 5월 23일 장애인 두 가족이 동시에 극단적인 선택을 한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한 가정은 발달장애를 겪는 6살 아들을 돌보던 40대 엄마가 아들과 함께 투신하였고, 다른 한 가정은 30년 동안 뇌병변 장애로 누워서 생활하는 딸을 거의 혼자 돌보았던 엄마가 딸과 함께 자살을 시도했다가 딸은 사망하고 엄마는 구급대에 의해 목숨을 건진 사건입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비극이 편견과 차별 속에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돌봄의 부재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장애인 가족의 힘겨운 삶에 대해 지난 4월에 서울시 복지재단이 발표한 ‘고위험 장애인가족 지원방안 연구 보고서’에 실린 ‘고위험 장애인가족 특성 및 위험요인 인식조사 결과’를 보면 장애인 동거가족의 ‘자살 시도/생각 여부’에 대해, ‘자살을 생각한 적이 있다’라고 답한 비율은 24%, ‘자살을 시도한 적이 있다’ 4%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일반 성인’의 자살생각률/자살시도율과 비교해 각각 5~8배 높은 수치입니다.

1.jpg

1-1.jpg
장애인 가족 주돌봄자의 건강상태에 대해서는 ‘우울·불안’ 34% 등으로 조사돼 신체적·정신적으로 건강문제를 겪고 있는 비율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로 겪는 가족 문제로는 ‘양육 및 돌봄’이 67%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정신적 건강’ 24%, ‘생계곤란’ 19%, ‘주거문제’ 12%, ‘가족 갈등 및 폭력’ 10% 순이었습니다. 이에 따른 ‘가족의 우선순위 욕구’를 살펴보면, ‘양육 및 돌봄’이 46%로 나타나 앞서 언급한 가족의 주요 문제와도 맞닿아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 외에 ‘경제적 지원’, ‘도전적 행동 중재’, ‘의료지원’, ‘주거지원’도 20%대의 응답률을 보였습니다. 교회 차원에서도 장애인 가족을 둔 성도들의 필요에 관심을 갖고 ‘양육 및 돌봄 지원’에 대한 논의가 필요합니다.  

2.jpg
* 이 글은 [목회데이터연구소]의 '넘버즈'를 요약·인용하였습니다.
?

  1. 한국의 부모, ‘노후에 자녀에게 손 벌리고 싶지 않다’ 95%!

    한국의 부모, ‘노후에 자녀에게 손 벌리고 싶지 않다’ 95%! 성인이 되어 자립할 나이가 되었는데도 부모에게 경제적으로 기대어 동거하는 젊은이를 일컬어 ‘캥거루족’이라고 하는데 이들의 비율이 만만치가 않습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최근 자료에 따르면...
    Date2022.09.17 By좋은만남 Views37
    Read More
  2. 자녀 수, 양육 담당 인식, 세대 간 격차 커

    자녀 수, 양육 담당 인식, 세대 간 격차 커 사람들은 결혼 후 자녀를 갖는 것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갖고 있을까? ‘결혼해도 자녀를 가지지 않을 수 있다’는 의견에 대해 국민의 56%가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와 같은 인식은 연령별로 큰 격차를 보이...
    Date2022.09.10 By좋은만남 Views25
    Read More
  3. 한국인의 결혼생활 만족도, 100점 만점에 67점

    한국인의 결혼생활 만족도, 100점 만점에 67점 ‘일반적으로 결혼한 사람이 결혼하지 않은 사람보다 행복하다’는 의견에 대한 동의율은 얼마나 될까요? ‘결혼한 사람이 더 행복하다’는 주장에 대해 응답자의 39%만 동의하였고, 46%는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
    Date2022.09.03 By좋은만남 Views33
    Read More
  4. 결혼하지 않는 이유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

    결혼하지 않는 이유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 한국리서치가 미혼 남녀 대상으로 결혼의향을 질문하여 2022년 5월에 발표한 "여론 속의 여론, 결혼, 반드시 해야 할까? - 결혼에 대한 인식" 조사에 따르면, 미혼 전체의 49%가 결혼의향을 밝히고 있으며 30%는 아...
    Date2022.08.27 By좋은만남 Views41
    Read More
  5. 한국의 혼인건수, 10년 간 42% 감소

    한국의 혼인건수, 10년 간 42% 감소 지난 3월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혼인·이혼통계’에 따르면 2021년 혼인건수는 19만 건으로, 통계작성을 시작한 1970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10년 전인 2011년에 비하면 절반에 가까운 42%나 감소한 수치입...
    Date2022.08.20 By좋은만남 Views32
    Read More
  6. 맞벌이 가구, 전체 유배우자 가구 중 절반 가까이 돼!

    맞벌이 가구, 전체 유배우자 가구 중 절반 가까이 돼! 통계청의 2021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 현황 보도자료에 따르면 맞벌이 가구는 582만 가구로 전년(559만) 대비 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맞벌이...
    Date2022.08.13 By좋은만남 Views24
    Read More
  7. 주거취약지역 중장년층 60%가 고독사 위험군

    주거취약지역 중장년층 60%가 고독사 위험군 서울시의 2022년 ‘주거취약지역 중장년 이상 1인 가구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쪽방, 고시원, 여관 등에 혼자 사는 50대 이상 중장년층의 60%가 고독사 위험군으로 나타났습니다. 여기서 고독사란 가족, 친척 등 ...
    Date2022.08.07 By좋은만남 Views21
    Read More
  8. 한국 뉴스 신뢰도 30%, 세계 최하위 수준인 40위

    한국 뉴스 신뢰도 30%, 세계 최하위 수준인 40위 영국 옥스퍼드 부설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는 2012년부터 에서 매년 ‘디지털 뉴스 리포트’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이 뉴스 리포트는 세계 주요 국가 국민들의 디지털 뉴스를 어떻게 이용하고 있으며 어떤 인식을...
    Date2022.07.30 By좋은만남 Views22
    Read More
  9. 국민 81%가 신조어 사용, '줄임말'을 제일 많이 사용해

    국민 81%가 신조어 사용, '줄임말'을 제일 많이 사용해 국립국어연구원이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몇 가지 예시를 들어서 신조어를 ‘인터넷 언어’라는 명칭으로 사용 빈도를 조사했을 때 ‘자주 사용’ 비율이 42%나 되었는데, ‘보통 사용’ 비율 39%까지 포함하면 ...
    Date2022.07.23 By좋은만남 Views320
    Read More
  10. 노인학대 사례 건수, 전년 대비 8% 늘어

    노인학대 사례 건수, 전년 대비 8% 늘어 최근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2021년 노인학대 현황보고서’에 따르면 매년 노인학대 신고 건수가 늘고 있으며, 지난해는 19,391건으로 전년 대비 1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의 노인학대 사례 건수, 즉 노인...
    Date2022.07.16 By좋은만남 Views3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8 Next
/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