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만남교회

조회 수 1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삶의 활력을 얻기 위해' 다양한 모임 참여 필요하다!


트렌드 전문 조사기관인 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가 한국인의 모임과 인관관계에 대해 추적조사를 실시한 최근 발표에 따르면 한국인들은 코로나19 이후 ‘느슨한 인간관계를 선호’하는 경향이 보다 뚜렷해지만 강한 연대의 인간관계를 희망하고 있었습니다. 
다양한 모임 참여 필요성을 느끼는 응답자에게 그 이유를 질문한 결과, ‘삶의 활력/에너지를 얻을 수 있어서’라고 답한 비율이 52%로 압도적으로 높았고, 다음으로 ‘다양한 분야/사람과의 인맥을 넓힐 수 있어서’ 35%, ‘친한 친구를 만들 수 있는 기회가 되기 때문에’ 34%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1.jpg

"향후 다양한 모임에 참여할 의사가 있는가"라는 질문에 '그렇다'고 의향을 밝힌 비율은 69%로 비교적 높은 편이었습니다. 23%는 함여 의향이 없는 편이라고 답변하였습니다. 모임의 종류에 대한 질문에 답변한 것을 연령별로 살펴보면 모든 연령대에서 ‘운동/스포츠 모임’ 참여 의향률이 가장 높았습니다. 다만 4050세대는 봉사활동 관련 모임에 대한 요구가 타 연령층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2.jpg

앞에서 취향이 같은 모임에는 시간과 비용을 투자할 용의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시간을 쓴다면 투자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지에 관하여 질문하였습니다. 그 결과 ‘여행가기’가 77%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취미활동 즐기기’ 60%, ‘건강관리’ 56%, ‘좋아하는 사람들과 만남 갖기’ 55%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3.jpg
* 이 글은 [목회데이터연구소]의 '넘버즈'를 요약·인용하였습니다.
?

  1. '도움 받을 사람 없다' 한국 OECD 국가 중 최상위권

    '도움 받을 사람 없다' 한국 OECD 국가 중 최상위권 OECD의 ⌜How’s Life? 2020 리포트⌟에 따르면 2016~2018년 OECD 평균 ‘사회적 고립도’ 즉, 도움이 필요할 때 도움받을 친구 또는 친척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은 10명 중 1명(9.6%)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
    Date2022.11.12 By좋은만남 Views18
    Read More
  2. 고령층 인식 변화, 가족·정부·사회 부양 견해 증가

    고령층 인식 변화, 가족·정부·사회 부양 견해 증가 최근 통계청의 ‘2022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본인·배우자가 직접 생활비를 마련’하는 고령자(65세 이상) 비율은 65%로 10년 전(52%) 대비 13%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노인임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경제적 활...
    Date2022.11.05 By좋은만남 Views16
    Read More
  3. '삶의 활력을 얻기 위해' 다양한 모임 참여 필요하다!

    '삶의 활력을 얻기 위해' 다양한 모임 참여 필요하다! 트렌드 전문 조사기관인 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가 한국인의 모임과 인관관계에 대해 추적조사를 실시한 최근 발표에 따르면 한국인들은 코로나19 이후 ‘느슨한 인간관계를 선호’하는 경향이 보다 뚜렷해지...
    Date2022.10.29 By좋은만남 Views19
    Read More
  4. 한국인의 인간관계, '느슨한 관계' 선호 경향 뚜렷

    한국인의 인간관계, '느슨한 관계' 선호 경향 뚜렷 트렌드 전문 조사기관인 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가 한국인의 모임과 인관관계에 대해 추적조사를 실시하여 최근 발표했습니다. 한국인들은 코로나19 이후 학연, 지연 위주의 모임 대신 ‘느슨한 인간관계를 선호...
    Date2022.10.22 By좋은만남 Views24
    Read More
  5. 한·일 양국, 서로에 대한 호감도 상승, '역사문제'는 숙제

    한·일 양국, 서로에 대한 호감도 상승, '역사문제'는 숙제 최근 동아시아연구원과 일본 싱크탱크인 겐론 NPO가 공동 발표한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일 관계 회복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다만 ‘한·일 관계 ...
    Date2022.10.15 By좋은만남 Views13
    Read More
  6. 윤석열 대통령 신뢰도 역대 최저, 언론 불신도도 계속 증가

    윤석열 대통령 신뢰도 역대 최저, 언론 불신도도 계속 증가 시사인에서 8월에 ‘2022 한국사회 신뢰도’ 조사를 실시하면서 현직 대통령의 신뢰도를 측정하였는데, 조사를 시작한 2007년 이래 ‘윤석열 대통령’의 신뢰도가 역대 대통령 중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
    Date2022.10.08 By좋은만남 Views19
    Read More
  7. 2021년 이혼 부부 10쌍 중 4쌍은 ‘황혼이혼’!

    2021년 이혼 부부 10쌍 중 4쌍은 ‘황혼이혼’! 최근 동아일보에서 ‘독립하지 못하는 성인 자녀’, ‘갑자기 닥쳐오는 부모 간병’, ‘황혼이혼’이 ‘노후의 3대 가족 리스크’라는 기획기사를 실었습니다. 자녀리스크와 가족간병에 이어 황혼이온에 대해 살펴보겠습니...
    Date2022.10.01 By좋은만남 Views29
    Read More
  8. 우리나라 사적 간병률 61%, '가족 간병'이 88% 차지

    우리나라 사적 간병률 61%, '가족 간병'이 88% 차지 통계청(‘국민 삶의 질’ 2021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의 ‘기대수명(2020년 0세 기준)’은 83.5세로 조사됐습니다. 유병기간을 제외한 기대수명을 일컫는 ‘건강수명’의 경우 73.1세여서 ‘기대수명’과 10년의 ...
    Date2022.09.24 By좋은만남 Views62
    Read More
  9. 한국의 부모, ‘노후에 자녀에게 손 벌리고 싶지 않다’ 95%!

    한국의 부모, ‘노후에 자녀에게 손 벌리고 싶지 않다’ 95%! 성인이 되어 자립할 나이가 되었는데도 부모에게 경제적으로 기대어 동거하는 젊은이를 일컬어 ‘캥거루족’이라고 하는데 이들의 비율이 만만치가 않습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최근 자료에 따르면...
    Date2022.09.17 By좋은만남 Views37
    Read More
  10. 자녀 수, 양육 담당 인식, 세대 간 격차 커

    자녀 수, 양육 담당 인식, 세대 간 격차 커 사람들은 결혼 후 자녀를 갖는 것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갖고 있을까? ‘결혼해도 자녀를 가지지 않을 수 있다’는 의견에 대해 국민의 56%가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와 같은 인식은 연령별로 큰 격차를 보이...
    Date2022.09.10 By좋은만남 Views2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18 Next
/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