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만남교회

조회 수 1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고령층 인식 변화, 가족·정부·사회 부양 견해 증가


최근 통계청의 ‘2022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본인·배우자가 직접 생활비를 마련’하는 고령자(65세 이상) 비율은 65%로 10년 전(52%) 대비 13%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노인임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경제적 활동을 하지 않으면 생활하기 어려운 한국의 현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반면 ‘자녀·친척지원’은 2011년 39%에서 2021년 18%로 절반이나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고 ‘정부·사회단체 지원’은 지난 10년간 2배가량(2011년 9%→ 2021년 17%) 증가한 점도 눈에 띕니다.

1.jpg

현재 노후 준비 여부를 물은 결과, ‘준비하고 있음’ 57%, ‘준비하고 있지 않음’ 43%로 고령자 절반 이상이 노훈 준비를 하고 있다고 응답했는데 이는 2011년 이후 처음으로 절반을 넘어선 수치입니다. 그러나 아직까지 43%는 노인임에도 불구하고 노후 준비를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노후 준비 방법’으로는 절반 가까이(48%)가 ‘국민연금’을 꼽아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예금적금’ 17%, ‘직역연금’ 11% 등의 순이었습니다. 
가족관계 중 ‘배우자와의 관계’에 대해 만족하는 노인은 62%,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는 70%로 나타나 10년 새 각각 3%p, 7%p 증가해 전체적으로 배우자보다는 자녀 만족도가 높았습니다.

2.jpg

부모 부양이 ‘가족의 책임’이라 생각하는 고령자는 2020년 기준 27%로 응답돼 2010년 38%보다 대비 11%p 감소한 반면 ‘가족/정부/사회가 함께’ 책임져야 한다는 견해는 50%로 10년 새 12%p 상승하며 ‘사회 공동체의 책임’ 인식이 높아지는 추세입니다. 

4.jpg
* 이 글은 [목회데이터연구소]의 '넘버즈'를 요약·인용하였습니다.
?

  1. 2022년 복권 판매량 6조 원 돌파, 3년 새 34% 증가

  2. 새해 국민의 삶, 부정적 전망이 긍정적 기대의 두 배

  3. 소득 분위별 교육비 지출액 차이 53만 원, 18배 차이

  4. 유초중고 학생 수 한 세대 전에 비해 41% 감소해

  5. 열 명 중 한 명, 종교가 바뀌거나 이탈하거나

  6. 이주민, 이웃은 괜찮지만 가족이 되는 것은 약간...

  7. 맞벌이 가구 늘고 비맞벌이 대비 소득 1.57배 높아

  8. 자녀 살해 후 자살하는 부모, 3명 중 1명이 ‘경제 문제’!

  9. 2021년 평균 진료비 중 75%, 건강보험이 부담

  10. 2050년 자녀 없이 사는 1인 가구와 부부가구 63%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18 Next
/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