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만남교회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자녀 살해 후 자살하는 부모, 3명 중 1명이 ‘경제 문제’!


한 해를 마감하면서 올해도 가족 동반자살 기사가 자주 등장했다는 사실을 확인하며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보건복지부, 교육부, 경찰청, 언론계 등은 이런 사건을 아동학대로 규정하고 '가족 동반자살', '일가족 극단적 선택' 등 미화하는 표현을 쓰지 않기로 했다고 합니다. 실제로는 부모가 자녀를 살해한 후 자살한 사건이고 형법상 살인죄에 해당하는 범죄행위이자 극도의 아동학대라는 점을 명확히 한 것입니다.
최근 국민의힘 강기윤 의원실에서 ‘2013~2020년 자녀 살해 후 자살 주요 현황’ 자료를 발표했는데, 적게는 2017년 13명에서 많게는 2019년의 30명에 달하고, 매년 평균 20명의 부모가 자녀를 살해 후 극단적 선택을 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녀 살해 후 자살하는 주 원인 상위 세 항목을 살펴보면 ‘경제 문제’(33%)와 ‘가족관계 문제’(32%)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정신건강 문제’도 26%나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jpg

부모 성별로 자녀를 살해하고 본인도 는 경우를 살펴보았습니다. 이런 사건의 경우 여성의 비율이 56%로 남성(44%)보다 높은 편이었습니다. 
또 연령별로 확인하면 부모가 30~40대인 비율이 전체 중에서 70%가량이나 되는 점이 특징적으로 조사되었습니다. 30~40대의 부모라면 살해된 자녀들이 대부분 아동·청소년이라는 것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 우리 사회에서 여전히 부모가 자녀를 소유물로 여기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염려가 듭니다. 자녀를 하나의 인격체로서 존중하는 사회적 인식이 높아져야 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jpg
* 이 글은 [목회데이터연구소]의 '넘버즈'를 요약·인용하였습니다.
?

  1. 소득 분위별 교육비 지출액 차이 53만 원, 18배 차이

  2. 유초중고 학생 수 한 세대 전에 비해 41% 감소해

  3. 열 명 중 한 명, 종교가 바뀌거나 이탈하거나

  4. 이주민, 이웃은 괜찮지만 가족이 되는 것은 약간...

  5. 맞벌이 가구 늘고 비맞벌이 대비 소득 1.57배 높아

  6. 자녀 살해 후 자살하는 부모, 3명 중 1명이 ‘경제 문제’!

  7. 2021년 평균 진료비 중 75%, 건강보험이 부담

  8. 2050년 자녀 없이 사는 1인 가구와 부부가구 63%

  9. 이태원 참사 일차적 책임은 '대통령과 정부에' 28%

  10. 2022년 통일의식, 국민 56%가 남한 핵무장 찬성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18 Next
/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