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만남교회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국인의 집단 갈등, 진보와 보수, 성별 관련 가장 심각


한국인의 집단 간 갈등 정도(심각도)를 확인한 결과, ‘진보와 보수’ 간의 이념 갈등이 심각하다는 의견이 87%로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그 외에 ‘빈부’ 간의 갈등과 ‘세대’ 간 갈등도 각각 78%, 66%로 높은 편이었습니다. 
갈등이 심각한 집단 간에는 얼마나 불편함을 느낄까요? ‘나와 지지정당이 다른 사람’ 즉, 위에서 보면 ‘진보와 보수’일 수 있는데 이 경우 40%가 ‘불편하다’고 응답했고, ‘나와 경제적 지위가 다른 사람’은 앞선 응답의 절반 가량인 27%가 ‘불편하다’고 답했습니다.

1.jpg

우리 국민의 대다수(91%)는 ‘우리 사회의 전반적 갈등 수준’이 심각하다고 인식했는데, 이런 사회적 갈등 문제는 나와 생각이 다른 사람 등에 대한 혐오로도 이어져 ‘온·오프라인 상 혐오표현의 심각성’을 묻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 10명 중 9명 이상이 심각하다고 응답했습니다. 

2.jpg

혐오표현이 심각하다는 데 동의한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심각한 혐오표현 유형에 대해 물은 결과(1+2+3순위 기준), ‘정치·이념·종교 관련’(62%)과 ‘성별 관련’(61%)을 꼽은 비율이 ‘연령’, ‘성 정체성’, ‘인종’, ‘장애’, ‘지역’보다 월등히 높았습니다. 
우리 국민 10명 중 6명 이상은 우리 사회 집단 간 갈등이 ‘갈등 당사자 간 입장 차이나 이해 대립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라고 응답했고, 집단 간 갈등은 ‘사회발전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이라는 응답(37%)보다는 ‘갈등을 부추기는 집단이 세력 때문에 발생한다’(63%)는 입장이 2배 가까이 높았습니다. 

3.jpg
* 이 글은 [목회데이터연구소]의 '넘버즈'를 요약·인용하였습니다.
?

  1. 현대인, 일주일에 신용카드 1장을 먹고 있다.

  2. 향후 발생 가능성이 가장 높은 세계적 위험요인, 기후변화

  3. 한국학생 학업성취도 높지만 학력 격차는 심해!

  4. 한국인이 꼽은 가장 부러운 직업 / 존경하는 직업

  5. 한국인의 집단 갈등, 진보와 보수, 성별 관련 가장 심각

  6. 한국인의 직장 생활, 만족도 떨어지고 조기 은퇴 원해

  7. 한국인의 직업 인식, 변화에 대비해야 할 것

  8. 한국인의 인간관계, '느슨한 관계' 선호 경향 뚜렷

  9. 한국인의 수면만족도 41%, 잠들기 전 마지막 행동은?

  10. 한국인의 기대수명/건강수명 늘어나고 있다.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