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만남교회

조회 수 2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여론조사, 필요하지만 열 명 중 네 명은 신뢰하지 않아


최근 정치 관련 여론조사에서 정당에 대한 지지도 결과의 편차가 여론조사 기관에 따라 매우 크게 나타나 많은 사람이 의아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CBS노컷뉴스가 여론조사 업체 알앤써치에 의뢰하여 9월 3일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지지도가 50%로 정점을 찍은 반면 한국갤럽의 자체조사와 한국리서치 등 4개 기관이 공동으로 실시한 전국지표조사에서는 27%로, 거의 두 배에 이를 정도로 큰 차이가 납니다. 이런 현상을 두고 여론조사에 대해 믿을 수 없다는 불신이 깊어짐과 동시에 가 오히려 정치적 의도가 개입하여 여론을 호도하고 왜곡한다는 비판도 커지고 있습니다.

1.jpg

2.jpg 여론조사에 대한 국민들의 여론을 조사한 흥미로운 결과(여론 속의 여론)가 있어 살펴보았습니다. ‘국가나 사회의 여러 문제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이나 행동을 알아보기 위한’ 여론조사가 얼마나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를 물었습니다. 그 결과, ‘대체로 필요하다’ 53%, ‘매우 필요하다’ 41%로 우리 국민의 대다수는 여론조사의 필요성에 매우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론조사는 민주주의를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필수적인 요소이다’와 ‘여론조사가 우리 사회에 도움이 된다’에 대한 각각의 동의율을 물은 결과, 두 의견 모두 70% 안팎의 비교적 높은 동의율을 보여 여론조사에 대한 국민들의 긍정적 인식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3.jpg
우리 국민들은 평소 여론조사 결과를 얼마나 신뢰할까요? 10명 중 6명은 ‘신뢰한다’(대체로+매우)고 응답했는데 여론조사 유형별 신뢰도를 보면 ‘라이프 스타일 여론조사’와 ‘가치관 여론조사’는 전체 여론조사 신뢰도와 비슷한 60%대인 것에 반해, ‘정책 여론조사’와 ‘정치 여론조사’의 경우 ‘신뢰도’는 절반에도 못미치는 40%에 그쳤습니다. 
여론조사가 국민 여론을 왜곡하고 선동하려는 목적으로 악용돼서는 안 됩니다. 또 여론조사를 대하는 국민도 절대적으로 신뢰할 것이 아니라 사회의 인식과 방향의 흐름을 읽는 정도로 이해해야 할 것입니다. 

* 이 글은 [목회데이터연구소]의 '넘버즈' 기사를 요약·인용하였습니다.
?

  1. 한국 극빈가구 늘고, 노력 부족 때문 인식 늘어

    한국 극빈가구 늘고, 노력 부족 때문 인식 늘어 한국갤럽이 1990년부터 4차례에 걸쳐 ‘빈곤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를 하여 우리 국민들에게 ‘극빈가구가 해마다 늘고 있다고 생각하는지, 아니면 감소하고 있다고 생각하는지’를 물었습니다. 그 결과, 56%가 ‘...
    Date2023.11.18 By좋은만남 Views2
    Read More
  2. 한국 노동자 55%가 월 300만 원 미만 급여 받아

    한국 노동자 55%가 월 300만 원 미만 급여 받아 2023년 상반기 우리나라 전체 취업자 중 임금 노동자의 월 평균 임금 수준별 비중을 살펴본 결과, ‘200~300만 원 미만’이 34%로 가장 높았고, 이어 ‘400만 원 이상’ 24%, ‘300~400만 원 미만’과 ‘200만 원 미만’...
    Date2023.11.11 By좋은만남 Views1
    Read More
  3. 한국의 20대 우울증 환자, 4년 새 90% 증가

    한국의 20대 우울증 환자, 4년 새 90% 증가 10월 10일은 정신건강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정된 ‘정신 건강의 날’입니다. 우리나라의 현재 우울증 환자는 얼마나 될까요? 국회의원 남인순 의원실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
    Date2023.11.04 By좋은만남 Views1
    Read More
  4. 2022년 사망 원인, 암, 폐렴 등 질환이 전체의 40%

    2022년 사망 원인, 암, 폐렴 등 질환이 전체의 40% 매년 9월 발표되는 통계청의 ‘사망원인통계’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사인분류 지침에 따라 사망에 이르게 한 주요인을 기준으로 집계되는데, 2022년 한국인의 3대 사망원인으로 암, 심장 질환, 코로나19가 차...
    Date2023.10.28 By좋은만남 Views9
    Read More
  5. 사이버폭력 유형 절반은 ‘언어폭력’과 ‘명예훼손’!

    사이버폭력 유형 절반은 ‘언어폭력’과 ‘명예훼손’! 방송통신위원회의 ‘2022 사이버폭력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청소년의 사이버폭력 피해·가해 경험률은 2022년 각각 38%, 21%로 청소년 5명 중 2명은 ‘사이버폭력 피해 경험’이, 5명 중 1명은 ‘사이버폭력 가...
    Date2023.10.21 By좋은만남 Views2
    Read More
  6. 직장인의 행복에 가장 큰 영향, ‘가족’이 압도적으로 높아!

    직장인의 행복에 가장 큰 영향, ‘가족’이 압도적으로 높아! 한국 직장인들은 어디에서 행복과 만족을 얻을까요? 최근 발표된 조사자료(나우앤서베이)에 따르면, ‘현재 행복에 가장 영향을 주는 인간관계’에 대해 물었더니 직장인 3명 중 2명 가까이가 ‘가족과...
    Date2023.10.14 By좋은만남 Views3
    Read More
  7. 노후 소득 격차 5배 차, 공적연금 의존성 증가 추세

    노후 소득 격차 5배 차, 공적연금 의존성 증가 추세 한국 사회는 이미 고령사회로 접어들었습니다. 그러나 합계출산율은 2022년 기준 0.78명으로 떨어진 데다 올해는 0.6대로 더 떨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된 데다 출산율도 감...
    Date2023.10.07 By좋은만남 Views83
    Read More
  8. 한국인 자존감 높고 '경제력과 큰 연관 있다' 생각

    한국인 자존감 높고 '경제력과 큰 연관 있다' 생각 ‘자존감(自尊感)’은 자신 스스로에 대해 가치를 갖춘 존재로 여기고 부정적으로 여기지 않는 감정을 의미합니다. 자기 자신을 그 자체로 존중하고 사랑하는 감정인 ‘자존감’에 대한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의 ...
    Date2023.09.30 By좋은만남 Views29
    Read More
  9. 한국 2050년 취업자 평균연령은 53.7세

    한국 2050년 취업자 평균연령은 53.7세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발간한 보고서(부문별 취업자의 연령분포 및 고령화 현황과 시사점)에서 따르면 2022년 한국 취업자 평균연령은 약 46.8세이고, 성별·연령별 고용률이 현재 수준을 유지된다는 가정하에 추정한 결...
    Date2023.09.23 By좋은만남 Views27
    Read More
  10. 여론조사, 필요하지만 열 명 중 네 명은 신뢰하지 않아

    여론조사, 필요하지만 열 명 중 네 명은 신뢰하지 않아 최근 정치 관련 여론조사에서 정당에 대한 지지도 결과의 편차가 여론조사 기관에 따라 매우 크게 나타나 많은 사람이 의아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CBS노컷뉴스가 여론조사 업체 알앤써치에 ...
    Date2023.09.16 By좋은만남 Views2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