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만남교회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향후 발생 가능성이 가장 높은 세계적 위험요인, 기후변화


전 세계적 코로나19 위기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세계경제포럼이 최근 전 세계 경제포럼 관계 전문가 841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로 '세계 위기보고 2021(Global Risk Report 2021)'을 발표하였습니다. 이 설문에 58%가 단기간(2년) 명확하고 현존하는 세계적 위험요인으로 감염성 질병을 꼽았고 55%가 고용 생계 위기, 53%가 극단적 기후 이변 등을 꼽았습니다. 이는 코로나 19 요인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Numbers85th_210226_B1_Part-pdf.png

경제/환경/지리/사회/ 기술적 위기 항목 35개를 선정한 후 위험요인의 파급력과 발생 가능성 측면으로 그 위험도를 측정(1~5점)하였는데, ‘발생 가능성’ 측면에서는 ‘극단적 이상 기후’가 1위에 올랐고, 2위 ‘기후 변화 대응 실패’, 3위 ‘인간의 환경 파괴’ 등 1~3위가 모두 기후와 환경과 관련된 사항이었습니다. 또 세계적 위험을 촉발하는 요인 1위 역시 '기후 변화 대응 실패'가 1위를 차지하였고 감염성 질병이 2위, 고용/생계 위기가 3위를 차지하였습니다.
세계의 전문가들은 기후 변화와 환경적 위험 우려가 가장 크게 대두되는 위기로 진단하고 있는바 교회도 깊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이제는 하나님이 세상을 조화롭고 아름답게 창조하셨다는 고백이 신앙의 중요한 핵심으로 환기되어야 한다는 시대적 요청에 귀 기울여야 실천해야 합니다. 
?

  1. 코로나19 이후 경제적 불평등 더욱 심해졌다.

  2. 아동학대, 13분마다 1건이 신고되고 있습니다.

  3. 코로나19 시대, 기부 금액 감소, 기부 중단율 높아져!

  4. 빅데이터로 본 2020년 한국교회 4대 이슈

  5. 코로나19를 겪으면서 한국교회 신뢰도 급락

  6. 국민 절대다수, '우리 사회 갈등 심각하다!'

  7. 향후 발생 가능성이 가장 높은 세계적 위험요인, 기후변화

  8. 밀레니얼Z세대, 그들은 누구인가?

  9. 코로나 이후 '자살 생각한 적 있다' 증가세

  10.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부담감, 50대가 가장 크게 느껴!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