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만남교회

조회 수 1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밀레니얼Z세대, 그들은 누구인가?


공통된 사회문화적 경험과 사고방식을 공유하는 한 세대를 연구하는 것은 시대의 흐름을 읽는 유익한 방법입니다. 최근의 청년 세대는 만 15~24세를 Z세대, 25~34를 밀레니얼 세대라고 지칭하며 이 두 세대를 합쳐 MZ세대라고 합니다. MZ세대는 다른 세대에 비해 부모와 주변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주관적 주체적 삶을 사는 경향이 있습니다. 41%가 자신은 '주체적으로 살고 있다'라고 응답하였고, '타인의 인정보다 자신에게 맞는 방식을 선택한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54%였습니다. 
또한, MZ세대는 하나의 직장에 충실히 하는 것보다 다양한 직업을 갖는 것을 선호합니다. 이런 다양한 직업을 갖는 삶에 74%가 공감한다고 응답했으며 결혼하지 않는 삶에도 67%가 공감하는 등 기성세대의 고정관념을 벗어나 다양한 삶의 방식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20210307_04.png

기성세대가 자신의 감정이나 소신을 말하는 것이 타인이나 자신에게 불이익을 주거나 불편하게 할 수 있어 결례라고 생각하는 면이 있다면 MZ세대는 자기 주관대로 가치표현을 하고 행동합니다. 최근 6개월 이내에 추구하는 가치·소신을 위해 했던 행동을 묻는 물음에 기꺼이 생활습관을 바꾸며(49%), 자기 가치에 부합하는 제품 및 서비스를 구입하여 사용하고(35%), 청와대 청원 및 서명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28%)한다고 응답합니다. 그들의 자기 소신 표현은 소비행위에서도 엿볼 수 있습니다. 자기 소신대로 특정 상품을 구매하지 않는 불매운동에 참여하는 비율이 2018년에 비해 10%가 증가한 46%로 조사됐으며 자기의 성향과 맞는 제품이나 서비스가 있으면 사용의 불편함도 감수하며 구입할 수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50%로, 어떤 물건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할 때 손쉽게, 불편하지 않게 하려는 경향이 있는 기성세대와 다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들은 무작위 인터넷 검색이 아니라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을 통해 정보를 얻습니다. 이는 소위 '인플루언서'라고 불리는 영향을 미치는 사람을 말하는데 요즘은 단연 유튜브(74%)와 인스타그램(50%)이 대세입니다. 인플루언서를 통해 얻은 정보는 응답자의 42%가 TV나 신문 등 기존 미디어보다 유익하다고 생각하며 그들이 알려준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여 활용하고 싶다(49%)고 생각합니다. MZ세대는 취향을 중심으로 가볍게 만나는 모임을 선호합니다. 자신을 노출하는 것에 부담을 느끼며 타인에게 자신의 고향, 직업 등의 정보가 공개되는 것을 꺼리지만 반면 취미나 취향을 공개하는 것은 어렵게 생각하지 않으며(59%), 오히려 취향이 비슷한 사람을 만나면 쉽게 친해질 수 있다(58%)고 생각합니다.
기성세대와 젊은이 간의 넘기 힘든 틈, 다름을 인정하고 있는 그대로 바라봐 주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20210307_03.png
?

  1. 코로나19 이후 경제적 불평등 더욱 심해졌다.

    코로나19 이후 경제적 불평등 더욱 심해졌다. KBS가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신년 여론조사(2021. 1. 2)에 따르면 국민의 86%가 코로나19 확산 이후 우리 사회에서 경제적 불평등이 심해졌으며(매우+약간) 코로나 장기화로 종교 갈등, 건강 불평등, 교육 불평등...
    Date2021.02.04 By좋은만남 Views33
    Read More
  2. 아동학대, 13분마다 1건이 신고되고 있습니다.

    아동학대, 13분마다 1건이 신고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19년 아동학대 신고 건수는 41,389건으로 2014년(17,782건) 대비 2.3배 증가했습니다. 하루 평균 113건, 매시간 4.7건으로 평균 13분마다 1건이 신고되는 셈입니다. 또 2019년 아동학대로 ...
    Date2021.02.04 By좋은만남 Views12
    Read More
  3. 코로나19 시대, 기부 금액 감소, 기부 중단율 높아져!

    코로나19 시대, 기부 금액 감소, 기부 중단율 높아져! 한국인의 기부문화가 전체적으로 하강 곡선을 그리고 있습니다. 2019년에 기부를 해본 적이 있느냐(종교적 헌금을 제외)는 질문에 47%가 있다고 대답하였습니다. 이는 2017년에 비하여 6% 하락한 수치입니...
    Date2021.02.04 By좋은만남 Views48
    Read More
  4. 빅데이터로 본 2020년 한국교회 4대 이슈

    빅데이터로 본 2020년 한국교회 4대 이슈 2020년 한 해 동안 온라인에 게시된 글(일반적, 신앙적 글 제외) 중 한국 교회 주요 키워드를 중심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코로나', '신천지', '전광훈', '목회자 범죄'가 4대 이슈였고 이들의 복합적 작용...
    Date2021.02.06 By좋은만남 Views28
    Read More
  5. 코로나19를 겪으면서 한국교회 신뢰도 급락

    코로나19를 겪으면서 한국교회 신뢰도 급락 질병 관리청에서 지난 1년간 코로나19 확진자 감염원에 대해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교회 발 확진자 수가 전체의 11%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국민은 44%에 이를 것이라 응답하여, 무려 4배나 과장되게 인식하...
    Date2021.02.13 By좋은만남 Views15
    Read More
  6. 국민 절대다수, '우리 사회 갈등 심각하다!'

    국민 절대다수, '우리 사회 갈등 심각하다!' 한국사회갈등해소센터가 작년 12월에 발표한 '2020 한국인의 공공 갈등 의식 조사'에 따르면 한국 국민 절대다수인 90%가 우리 사회의 갈등이 '심각하다'고 응답했습니다. 지난 8년간 같은 조사 결과도 그 수치가 9...
    Date2021.02.20 By좋은만남 Views13
    Read More
  7. 향후 발생 가능성이 가장 높은 세계적 위험요인, 기후변화

    향후 발생 가능성이 가장 높은 세계적 위험요인, 기후변화 전 세계적 코로나19 위기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세계경제포럼이 최근 전 세계 경제포럼 관계 전문가 841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로 '세계 위기보고 2021(Global Risk Report 2021)'을 발표하였습니다. ...
    Date2021.02.27 By좋은만남 Views31
    Read More
  8. 밀레니얼Z세대, 그들은 누구인가?

    밀레니얼Z세대, 그들은 누구인가? 공통된 사회문화적 경험과 사고방식을 공유하는 한 세대를 연구하는 것은 시대의 흐름을 읽는 유익한 방법입니다. 최근의 청년 세대는 만 15~24세를 Z세대, 25~34를 밀레니얼 세대라고 지칭하며 이 두 세대를 합쳐 MZ세대라고...
    Date2021.03.06 By좋은만남 Views14
    Read More
  9. 코로나 이후 '자살 생각한 적 있다' 증가세

    코로나 이후 '자살 생각한 적 있다' 증가세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가 지난 1월 18일에 우리 국민을 대상으로 코로나19 발생 이후 정신 건강 상태를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최근 2주간 자살하려는 생각'이 있었느냐는 질문에 13%가 '있다'고 응답한 것으로 ...
    Date2021.03.13 By좋은만남 Views16
    Read More
  10.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부담감, 50대가 가장 크게 느껴!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부담감, 50대가 가장 크게 느껴! 코로나19의 장기화로 국민의 69%는 '고립된 시간이 늘었다’, 58%는 ‘경제적 부담이 늘었다’, 55%는 ‘일과 가정에서 책임이 가중되었다’고 응답해, 전체적으로 절반 이상의 국민이 일상의 삶에서 높은 ...
    Date2021.03.20 By좋은만남 Views3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