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만남교회

조회 수 1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79. 공감을 지향하는 유교 윤리



1. 유교


유교의 윤리는 근대화 속에서 현대의 문제에 답변하기 어려우며 극복되어야 하거나 대립적인 것으로 논의해 왔습니다. 또한, 자주 가부장적 체제 유지를 위한 도구로서만 인식되기도 하였습니다. 

유교의 윤리가 전통이라는 윤리 의식에 내면화되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과거 유교가 제시하는 종교 윤리의 구체적 내용이 우리에게 중요한 삶의 원리가 되고 있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오늘 우리 삶에서 지켜야 할 윤리의 근간으로 자리하고 있으며, 미래 삶 속에서 역시 윤리적 역할을 할 것도 사실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유교의 윤리는 오늘날 재해석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자기 수양을 통하여 사람들을 편안하게 해주어야 한다.” - 『논어』, 「헌문」, 45.


공자에게서 읽는 유교의 윤리적 실천입니다. 유교의 윤리는 본질적으로 자신을 수양함과 함께, 자신을 닦는 과정과 노력으로 주위 세계를 감화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러한 윤리를 담고 있는 것이 ‘인(仁)’이며, 어짊의 실천 내용이 ‘충(忠)’과 ‘서(恕)’입니다.


2. ‘인(仁)’, 어진 삶이란


‘仁(인)’은 두 사람의 상징에서 출발합니다. 글자의 뜻과 같이 사람과 사람의 사이를 연결함을 유추하게 합니다. 또한 화합, 연대 등의 암시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다.” - 『논어』, 「안연」, 22.confu.png


공자의 제자 번지의 물음, ‘인(仁)’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공자의 대답입니다. 공자는 ‘인’을 인간의 본성으로서 강조했습니다. 그리고 ‘인’이란 ‘애인(愛人)’, 곧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라 하였습니다. 사랑은 구체적 상황 속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따라서 사랑은 사랑한다는 실천적 의미가 따릅니다.


“천하에서 다섯 가지를 실천할 수 있으면 그것이 인이다.” - 『논어』, 「양화」, 6.


공자는 ‘인’의 실천 덕목에 관해 다섯 가지를 말합니다. 공손함, 너그러움, 미더움, 민첩함, 그리고 은혜로움입니다. 그는 다섯 가지 덕목의 의미를 이렇게 설명합니다. “공손하면 업신여김을 받지 않고, 너그러우면 많은 사람의 마음을 얻으며, 미더우면 사람들이 신임하게 되고, 민첩하면 공이 있게 되고, 은혜로우면 사람들을 부릴 수 있게 된다.”(『논어』, 「양화」, 6.)

공자에게 ‘인’의 시작은 스스로를 이기는 것에서 출발합니다. 사람은 사람과의 관계적인 존재입니다. 사람과의 관계에서 이기적 욕망은 부정적 결과를 가져옵니다. 따라서 ‘인’의 실천은 반드시 자신의 사사로운 욕망을 이기는 것이 필요합니다. 

유교의 윤리로서 공자의 ‘인’은 관계적 ‘사랑’이며, 사랑은 구체적 상황 속에 의미 있는 실천적인 태도가 중요합니다. 또한, 자기 욕망을 절제하는 태도에서 출발하는 것이 바로 ‘인’의 윤리입니다.


3. ‘忠(충)’과 ‘恕(서)’, 함께하는 삶


‘인’의 구체적 실천 방법은 ‘忠(충)’과 ‘恕(서)’로서 유교 윤리의 핵심이라 할 수 있습니다. 공자는 자신이 생각하는 인간 윤리의 길(道)을 하나라고 말하는데, 공자의 제자인 증자에게 다른 제자들이 그 뜻에 관해 묻자 증자는 공자의 그 하나의 길을 ‘忠(충)’과 ‘恕(서)’라고 대답했습니다.(『논어』, 「리인」, 15.)

공자는 ‘충’의 윤리는 두 가지 모습으로 사용합니다. 남과 어울릴 때는 진심으로 대해야 하며(『논어』, 「자로」, 19.), 또는 다른 이를 진심으로 대하면 깨우쳐 주어야 합니다.(『논어』, 「헌문」, 8.) 전자가 동등한 사람과의 ‘충’이라면 후자는 아랫사람을 향한 ‘충’이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자의 윤리로서 ‘충’은 다른 이와의 관계에서 그의 행복을 위해 진심을 다하는 것, 노력하는 행위, 성실한 마음으로 임하려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공자의 제자 자공이 “한 마디로 평생토록 실천할 만한 것이 있습니까?” 묻자 공자는 ‘恕(서)’라고 대답합니다. ‘서’는 “자기가 원하지 않는 것을 남에게 하지 않는 것이다.”(『논어』, 「위령공」, 23.) ‘恕(서)’의 글자 의미는 ‘같을 如(여)’와 ‘마음 心(심)’입니다. ‘같음에 마음을 쓴다.’는 의미입니다. ‘서’의 윤리는 두 가지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하나는 ‘공감’입니다. 공감은 윤리의 핵심입니다. 사회적 존재로서 인간은 다른 이와 함께해야 하며, 따라서 공감이 필수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하나는 ‘배려’입니다. 이 ‘배려’는 마음이 아니라 실천입니다. ‘서’는 실천에 대한 제자의 물음에 관한 공자의 대답입니다. 따라서 ‘서’는 공감을 바탕으로 한 배려의 실천이라 할 수 있습니다.


4. 공감


‘공감’. 시대의 화두처럼 다가온 단어입니다. ‘공감’의 영어 단어 ‘sympathy’의 어원은 그리스어 ‘함께’라는 뜻의 ‘syn’과 ‘감정’을 뜻하는 ‘παθος(pathos)’가 합쳐진 단어입니다. 함께 감정을 갖는 것입니다.

함께 감정 갖기가 무엇보다 필요한 때를 살고 있습니다. 코로나의, 기후위기의, 전쟁 등의 피해자는 보편적이라 하지만 직접적인 피해자는 그렇지 않습니다. 그래 공감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자주 우리는 공감보다 ‘줄 수 있는 이들이 준다.’라는 의미로 쉽게 변질되어 온 배려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시 ‘공감’입니다. 그리고 위기 앞에 ‘인(仁)’, ‘충(忠)’과 ‘서(恕)’의 유교 윤리를 살핍니다. ‘공감’은 필요가 아니라 ‘인간’의 필수이기 때문입니다. 

“호의가 계속되면은, 그게 권리인 줄 알아요.”(영화 《부당거래》의 대사) 같이 근본 없이(?) 막돼먹은 말들이 생각 없이 난무할 때, 더더욱 그렇습니다.(‘근본 없이’는 너무 나쁜 유교를 상상합니다. 물론 해석하면 아니지만….) 

?

  1. 85. 아! 수학여행

    85. 아! 수학여행 1 교직원 회의(정확히는 전달회)를 위해 회의실 앞자리에 앉았습니다. 시작까지 7분여, 물론 영혼은 왼손에 니체의 『즐거운 지식』의 책등을 올려 오른손 엄지와 검지로 앞마구리를 스르륵스르륵 두어 번. 길든 책입니다. “선생님.” 분명하...
    Date2023.11.11 By좋은만남 Views1
    Read More
  2. 84. 무엇을 할 것인가, 불교의 인간 이해

    84. 무엇을 할 것인가, 불교의 인간 이해 1 “내가 너희 나이 때 반드시처럼 읽어야 하는 책이 있었단다.” 책을 들었습니다. 니꼴라이 체르니셰프스끼의 『무엇을 할 것인가』, 서정록 옮김(열린책들, 1989). 그리고 맨 앞 아이의 손에 들렸습니다. 스스륵 넘기...
    Date2023.10.14 By좋은만남 Views2
    Read More
  3. 83. 이슬람의 윤리적 실천, 정언명령의 종교

    83. 이슬람의 윤리적 실천, 정언명령의 종교 1. 이슬람 이슬람교는 ‘알라(Allah)’ 곧 유일신(唯一神) 하느님 중심입니다. 하느님에 의해 창조된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하느님을 믿고 뜻에 순종하는 것입니다. ‘이슬람(Islam)’은 하느님에 대한 순종을 뜻...
    Date2023.09.16 By좋은만남 Views15
    Read More
  4. 82. 자본주의 시장화 교육 정책이 만든 교사의 죽음

    82. 자본주의 시장화 교육 정책이 만든 교사의 죽음 1. 교사의 죽음, 산으로 가는 배 서이초 교사 일기의 일부를 인용한 기사 제목입니다. “극단선택 서이초 교사, 일기장엔 “모든 게 버거워…숨 막혀””, 『중앙일보』, 2023.7.25. 기사의 시작입니다. “서울 서...
    Date2023.08.12 By좋은만남 Views15
    Read More
  5. 81. 조건 없는 사랑!?!, 크리스트교 윤리

    81. 조건 없는 사랑!?!, 크리스트교 윤리 1. 크리스트교 크리스트교는 예수를 크리스트, 곧 구세주(그리스어, Χριστός)라 고백하는 종교입니다. 크리스트교는 유대교 전통 대부분을 계승하면서도 다른 방식으로 해석합니다. 유대교의 십계명과 같은 율법을 부...
    Date2023.06.17 By좋은만남 Views25
    Read More
  6. 80. 나 없는 자비, 불교 윤리

    80. 나 없는 자비, 불교 윤리 1. 불교 불교의 최종 목표는 인간 스스로가 ‘붓다(Buddhan)’ 곧 ‘깨달은 자’에 이르는 것입니다. 인간이 존재하는 상태를 깨닫는 것이며, 이를 통해 이상적 인간과 이상적 세계를 이룰 수 있다고 습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깨달음...
    Date2023.05.20 By좋은만남 Views1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